
적절한 색상 선택은 데이터의 가독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다.seaborn, matploblib 등 파이썬의 여러 데이터 관련 라이브러리가 독자적인 팔레트를 제공한다. 좋은 색 배합은 데이터 분포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하는데,이는 내가 나타내고자하는 데이터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다. 여러 팔레트를 찾아봤지만, 내 기준으로 가장 직관적으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이트는 오늘 소개할 Color Brewer인 거 같다. ColorBrewer는 데이터 클래스의 수,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가장 적절한 팔레트를 제공하는 사이트로, 이를 직접 디자인 또는 프로그래밍 작업에 응용할 수 있는 여러 export 방식도 제공한다. https://colorbrewer2.org/#type=..

간혹 인터넷을 돌아다니다보면서 이런 그림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. 이런 그림을 이른바 생키 다이어그램(Sankey Diagram)이라고 한다. 기업의 매출, 수익 및 비용을 표시한 재무제표의 손익계산서를 시각화한 그림으로, 기업의 수익구조를 표보다 훨씬 직관적으로 표현해준다. 생키 다이어그램은 이런 기업 손익계산서 뿐 아니라 물자 흐름, 물량 변화 등을 표시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된다. 생키 다이어그램을 혹시 직접 만들어볼 수 있을까? 투자하고자하는 기업의 손익을 직관적으로 제시할 수도 있고, 또 개인의 경우 가계부의 현금 흐름을 파악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. 생키 다이어그램 제작을 지원하는 여러 사이트가 있다. 유용한 사이트는 대표적으로 https://www.sankeyart.com/등이..